■ 로봇청소기 역사
◐ 대중화를 이루지 못했던 로봇청소기
로봇청소기의 초기 개발은 1990년대에 이루어졌습니다. 1996년 미국의 Electrolux 社는 최초의 로봇청소기 ‘로봇바텐더’를 선보였습니다. 이 모델은 당시 혁신적인 제품이었습니다. 다만 기술적 한계를 보였음에도 가격은 매우 비쌌으며 지금의 제품들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성능을 갖고 있었는데요. 그 후 1997년 일본의 Minakuchi Engineering 社는 ‘트리키’라는 로봇청소기를 출시하게 됩니다. 이 역시 기능에 있어서 만큼은 기술적제한이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 개발된 로봇청소기들은 결국 대중화에 이르지는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중요했던 이유는 미래발전의 토대를 만들어냈다는 점에 있습니다.
◐ 로봇청소기의 대중화시대
위와 같은 시기를 거쳐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로봇청소기는 본격적으로 사용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2001년 iRobot 社는 ‘룸바’라는 모델을 출시했습니다. 이 룸바는 로봇청소기가 대중화를 이루는 신호탄이 되었는데요.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이룬 바 있습니다. 2002년 일본의 Funai Electric社가 처음으로 자동충전 기능을 탑재한 로봇청소기를 만들어 냈습니다. 이는 기존 제품들과 비교되지 않을 정도의 편의성을 갖춘 제품이었는데요. 2000년 후반에는 기술적으로 발전한 모델들의 출시가 있었고 지금의 기술에 발판이 되었습니다.
◐ 스마트시대와 함께하는 로봇청소기
그러다 2010년 본격적인 스마트시대가 열렸고 로봇청소기 또한 스마트해졌습니다. Wi-Fi 및 앱 연동 기능이 탑재되었으며 스마트홈 기기로 진화하기 시작했습니다. 2016년, iRobot社의 ‘룸바 980’ 모델은 카메라와 센서를 활용하여 지도기반의 청소까지 성공하였는데요. 이는 로봇청소기가 우리 집 구조를 알고 더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기술이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인공지는(AI) 시대를 지나고 있습니다. 이 또한 로봇청소기의 기술로 접목이 되고 있는데요. 즉 로봇청소기는 기술적 발전을 넘어 지능화를 갖춘 제품으로 탄생되고 있습니다.
■ 로봇청소기 원리
로봇청소기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봇청소기는 크게 5가지의 시스템으로 작동합니다. 이를 정리해보면 아래 내용과 같습니다.
◐ 센서 시스템
센서시스템은 로봇청소기의 핵심기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에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카메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로봇청소기가 주변환경을 정밀하게 파악하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는 벽이나 가구 등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는 공간의 구조를 인식하여 청소해야 할 영역을 결정하게 됩니다. 이러한 센서들은 로봇청소기가 복잡한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기여합니다.
◐ 주행 시스템
로봇청소기의 주행시스템은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하여 최적의 주행경로를 계산합니다. 이를 위해 로봇청소기는 고도로 발달한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되며 이를 통해 장애물을 피할 수 있고 청소해야 할 영역을 효율적으로 감지하게 됩니다. 모터와 바퀴가 이런 계산된 경로에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 과정에서 로봇청소기는 지속적으로 주변환경을 감지하고 경로를 조정하게 됩니다.
◐ 청소 시스템
로봇청소기의 근본적인 역할인 청소시스템입니다. 로봇청소기에 있어 청소시스템만을 놓고 보면 사실 진공청소기와 다를 바 없습니다. 바닥의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고성능의 진공모터가 작동합니다. 또한 회전 브러시나 진동브러시를 사용하여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되는데요. 일부 고급모델의 경우 물걸레 능까지 갖추고 있어 먼지를 제거한 후 바로 바닥을 닦아내는 기능까지 발휘할 수 있습니다.
◐ 자동 충전기능
로봇청소기만의 고유영역이라 할 수 있는 자동 충전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로봇청소기는 배터리로 작동하며 사용 중 배터리가 소진되면, 자동으로 충전 스테이션으로 돌아가 충전을 시작합니다. 충전과정이 완료되면 로봇청소기는 자동으로 다시 청소를 재개하게 됩니다. 이 기능은 로봇청소기가 스스로 작동시간을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스마트 기능
마지막으로 스마트 기능입니다. 사실 스마트기능은 최신 로봇청소기들에 부합된 기능이라 할 수 있는데요. 스마트폰 앱을 통한 원격제어가 그렇습니다. 사용자는 앱을 통해 청소일정을 설정하거나 특정 영역의 청소를 명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기능이 탑재된 모델의 경우 음성명령으로 로봇청소기를 작동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높습니다.
■ 미래의 로봇청소기
지금의 로봇청소기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격에 있어서도 이전 중소득층 사람들이 살 수 없다고 생각했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대중화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는데요. 이는 더 많은 소비자들이 로봇청소기를 구입할 수 있게 만드는 중요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향후 미래의 로봇청소기는 생각하는 청소를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 아닌 청소주기에 맞춰 움직이거나, 혹은 스스로 돌아다니며 훑어본 후 청소하는 기능이 탑재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물체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이해, 음성인식을 통한 사람과의 소통 등! 더욱 지능화된 기능은 탑재될 것이고 이는 사용자의 불편개선과 편의를 높이는 방향으로 상호작용 될 수 있는데요. 무엇보다 스마트기기들 간의 연동이 더욱 다양해 지고 세밀해 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만약 지저분한 공간을 핸드폰으로 사진찍는 것만으로 알아서 청소하러 오는 청소기가 있다면 어떨까요? 또는 운동 중 손목 웨어러블 전자시계로 안방 화장대 밑을 청소해 달라고 요청하면 집에 왔을 때 깨끗해진 공간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로봇청소기는 앞으로도 더욱 진화할 것이며 실제 새로운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기에 기대가 되는 바 입니다.